반응형
요약 기사
"속도내는 이재용 式초격차' 삼성, 차세대 V낸드 10세대 430단대 직행 검토"
■ 기사 주요 내용
삼성전자가 2030년까지 1,000단 V-NAND를 개발하겠다고 호언장담 했고, 현재 차세대 V낸드 Roadmap이 윤곽을 드러내고 있습니다. 최근 8세대 V-NAND(236단)의 양산을 시작한 가운데 9세대 V-NAND는 280단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삼성전자는 2025~2025년 양산 예정인 10세대 V-NAND의 경우 300단 대를 넘어 430단 대로 바로 직행하는 것을 검토중에 있습니다. 이재용 회장이 강조하는 '초격차 전략'의 실행속도가 더 빨라지고 있습니다.
- 2013년 세계 최초로 개발한 V-NAND는 수직으로 쌓아올린 평면 단의 3차원 간에 Hole을 뚫어 각 층을 연결하는 구조.
- 2013년 등장한 1세대 V-NAND의 단수는 24단이며, 2세대 (32단), 3세대 (48단), 4세대 (64단), 5세대 (92단), 6세대 (128단)으로 적층 단수를 키움으로써 메모리 용량을 극대화 시킴.
- 지난해 1년 6개월 간 176단의 7세대 V-NAND 제품을 양산하기 시작.
- 7세대 V-NAND의 경우, 이전 세대와 달리 Single-Stack에서 Double-Stack으로 전환한 공정이 최초로 적용.
- Single-Stack의 경우 최상단과 최하단 Cell을 하나의 Hole을 뚫어 연결한 공정이고, Double-Stack의 경우 Signle-Stack 두 개를 묶는 기술로, Cell을 묶는 Hole이 적을수록 Data 손실이 적고 전송속도가 빠름.
- Single-Stack의 경우 적층할 수 있는 단수의 한계. (최상단에서 최하단까지 Hole을 뚫는 기술의 한계)
- 세대가 지남에 따라 8의 배수로 적층단수가 증가했으나, 2년 뒤에 양산 계획인 9세대 V-NAND의 경우 280단으로 추정.
- 8의 배수로 단수가 증가했던 이유는 Memory 용량이 바이트 (Byte) 단위이기에, 1Byte는 8Bit이기 때문임. 하지만 최근에는 공정 기술이 다양해지면서 8의 배수 단수 적용을 할 필요가 없어졌음.
- 기존 Single-Stack에서 Double-Stack 공정기술의 도약이 있었다면, 10세대 부터 300단 이상의 Stack의 경우 Triple-Stack 기술이 적용될 것이라는 전망.
- V-NAND의 경쟁력은 같은 단수이더라도, 높이를 최대한 낮게 쌓아 크기를 줄이는 것이 핵심 경쟁력. 따라서 어떻게 쌓아올리는지가 공정기술의 핵심 타겟이 될 것임.
▼▼▼참고 기사▼▼▼
속도내는 '이재용式 초격차'...삼성, 차세대 V낸드 10세대 430단대 직행 검토 - 전자부품 전문 미디
삼성전자가 2030년까지 1000단 V낸드를 개발하겠다고 밝힌 가운데, 차세대 V낸드 로드맵 윤곽이 조금씩 드러나고 있다. 최근 삼성전자는 8세대 V낸드(236단)를 양산을 시작한 가운데 2024년 양산 계획
www.thelec.kr
반응형
그리드형(광고전용)
'반도체 산업 > 시사' 카테고리의 다른 글
[반도체 시사] SK하이닉스, 조직 20~30% 축소, 30-40대 팀장 전진배치 (0) | 2023.01.04 |
---|---|
[반도체 시사] 유니테스트, 올 하반기 소형 Peroveskite 전지 상용화 추진 (0) | 2023.01.04 |
[삼성전자] 반도체 위기설 '문제없다', 정면대응 (0) | 2022.05.07 |
[반도체 시사] BOE, 애플 아이폰 OLED 설계 임의 변경했음? (0) | 2022.05.06 |
[반도체 시사] LG전자, 태양광 사업 12년 만에 종료. 다음 집중 사업은? (0) | 2022.03.10 |
최근댓글